1번째 줄: |
1번째 줄: |
| == 개요 == | | == 개요 == |
| 사이킷런. 파이썬 머신러닝 라이브러리의 기준 격인 라이브러리. | | 사이킷런. 파이썬 머신러닝 라이브러리의 기준 격인 라이브러리. |
| + | |
| + | 기계학습을 구현하는데 필요한 대부분의 기능을 담고 있다. |
| | | |
| == 사용 == | | == 사용 == |
27번째 줄: |
29번째 줄: |
| |훈련데이터와 테스트데이터 분리 | | |훈련데이터와 테스트데이터 분리 |
| |귀찮은 일을 모듈이 해준다. | | |귀찮은 일을 모듈이 해준다. |
| + | {| class="wikitable" |
| + | |+자주 사용하는 옵션 |
| + | !의도 |
| + | !설명 |
| + | |- |
| + | |stratify=df['해당열'] |
| + | |범주별 비율을 비슷하게 맞춰 데이터를 분리한다. |
| + | (원 데이터에서 하나의 범주만 너무 많거나 적은 경우 사용하여 비율을 지킨다.) |
| + | |} |
| |<syntaxhighlight lang="python"> | | |<syntaxhighlight lang="python"> |
| from sklearn.model_selection import train_test_split | | from sklearn.model_selection import train_test_split |
| | | |
− | train_x, test_x, train_y, test_y = train_test_split(data, label, random_state=1) | + | train_x, test_x, train_y, test_y = train_test_split(data, label, test_size=0.2, train_size=0.8, ,random_state=1) |
| </syntaxhighlight>random_state는 random함수의 seed값을 고정하여 매번 같은 데이터를 얻게 하기 위함.(test용, 교육용에서 채점 등에 사용. 모델이 랜덤한 효과로 좋아지지 않도록.) | | </syntaxhighlight>random_state는 random함수의 seed값을 고정하여 매번 같은 데이터를 얻게 하기 위함.(test용, 교육용에서 채점 등에 사용. 모델이 랜덤한 효과로 좋아지지 않도록.) |
| | | |
− | 일반적으로 이 대신 test_size=0.2 를 사용한다.(20%가 test 데이터로) | + | 일반적으로 이 대신 test_size=0.2 를 사용한다.(20%가 test 데이터로)(전체 값이 1이 아닌지, train_size와 같이 넣는다.) |
| |- | | |- |
| |학습한 매개변수 저장하기 | | |학습한 매개변수 저장하기 |
51번째 줄: |
62번째 줄: |
| |} | | |} |
| | | |
| + | = 결측치 처리 = |
| + | {| class="wikitable" |
| + | !방법 |
| + | !설명 |
| + | |- |
| + | |DataFrame을 사용하는 경우 |
| + | |[[결측치 다루기:pandas]] 문서를 참고하자. |
| + | |} |
| = 모델 검증 = | | = 모델 검증 = |
| {| class="wikitable" | | {| class="wikitable" |
79번째 줄: |
98번째 줄: |
| print("정답률 : ", right/total) | | print("정답률 : ", right/total) |
| </syntaxhighlight>간단하게 모듈을 사용할 수도 있다.<syntaxhighlight lang="python"> | | </syntaxhighlight>간단하게 모듈을 사용할 수도 있다.<syntaxhighlight lang="python"> |
− | from sklearn import metrics # 추가로 가져온다. | + | from sklearn.metrics import accuracy_score # 추가로 가져온다. |
| | | |
− | score = metrics.accuracy_score(label, pre) # 레이블과 예측값을 넣는다. | + | score = accuracy_score(label, pre) # 레이블과 예측값을 넣는다. |
| print('정답률 : ', score) | | print('정답률 : ', score) |
| </syntaxhighlight> | | </syntaxhighlight> |
| |} | | |} |
− |
| |
− |
| |
| == SVM 알고리즘 == | | == SVM 알고리즘 == |
| 사용할 수 있는 SVM 알고리즘은 다음과 같다. 객체를 만들 때 알고리즘 이름만 바꾸어주면 된다. | | 사용할 수 있는 SVM 알고리즘은 다음과 같다. 객체를 만들 때 알고리즘 이름만 바꾸어주면 된다. |
207번째 줄: |
224번째 줄: |
| |} | | |} |
| [[분류:머신러닝 라이브러리]] | | [[분류:머신러닝 라이브러리]] |
| + | [[분류:Scikit-learn]]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