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16번째 줄: |
116번째 줄: |
| | | | | |
| |} | | |} |
− | enumerate
| |
| | | |
| + | === enumerate === |
| + | {| class="wikitable" |
| + | !의도 |
| + | !설명 |
| + | !예시 |
| + | |- |
| + | |기본형태 |
| + | |for문을 돌리며 변수와 함께 수를 세주는 역할이 필요할 때. |
| + | |<syntaxhighlight lang="python"> |
| + | for i, x in enumerate(['A', 'B', 'C']): |
| + | # i는 0부터 순차적으로 올라가고, |
| + | # x는 A부터 나온다. |
| + | </syntaxhighlight> |
| + | |} |
| + | |
| + | === zip === |
| + | 특정 데이터를 커플링하고 싶을 때 사용한다. |
| + | {| class="wikitable" |
| + | !의도 |
| + | !설명 |
| + | !예시 |
| + | |- |
| + | |두 리스트를 하나로 |
| + | |각각의 n번 원소를 하나의 튜플로 합쳐준다. |
| + | [1, 2, 3], ["A", "B", "C"]을 |
| + | |
| + | [(1, 'A'), (2, 'B'), (3, 'C')]로. |
| + | |<syntaxhighlight lang="python"> |
| + | pairs = list(zip(list1, list2)) |
| + | </syntaxhighlight> |
| + | |- |
| + | |두 리스트를 하나의 사전처럼 |
| + | |순번이 동일한 리스트가 있고, 이 둘을 동시에 순회해야 할 때. |
| + | |<syntaxhighlight lang="python"> |
| + | for i, j in zip(list1, list2): |
| + | .... |
| + | </syntaxhighlight> |
| + | |} |
| =분기문= | | =분기문= |
| 실행위치를 이동시키는 명령. | | 실행위치를 이동시키는 명령.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