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0번째 줄: |
10번째 줄: |
| !방법 | | !방법 |
| |- | | |- |
− | |그래프 그리기 | + | |그래프 그리기(선) |
| |res라는 데이터프레임의 그래프를 그릴 때. | | |res라는 데이터프레임의 그래프를 그릴 때. |
| res.index를 x축, 그 다음의 데이터를 y축에 그린다. | | res.index를 x축, 그 다음의 데이터를 y축에 그린다. |
27번째 줄: |
27번째 줄: |
| |저장하기 | | |저장하기 |
| |dpi옵션으로 해상도를 결정한다. | | |dpi옵션으로 해상도를 결정한다. |
− | |plt.savefig('파일경로.png', dpi=숫자) | + | |plt.savefig('파일경로.png', dpi=숫자, figsize=(1, 1.414)) |
| + | |- |
| + | |그래프 초기화 |
| + | |계속 작업하면 기존 그래프 위에 덧그려지게 되어 초기화가 필요하기도 하다. |
| + | |plt.cla() |
| |- | | |- |
| | | | | |
47번째 줄: |
51번째 줄: |
| 'solid', 'dashed', 'dotted', 'dashdot', 'solid' | | 'solid', 'dashed', 'dotted', 'dashdot', 'solid' |
| |plt.plot(x, y, label='라벨명', linestyle='solid') | | |plt.plot(x, y, label='라벨명', linestyle='solid') |
| + | |} |
| + | |
| + | === 선 색 === |
| + | {| class="wikitable" |
| + | !의도 |
| + | !설명 |
| + | !방법 |
| + | |- |
| + | |색 지정 |
| + | |기본적으로 16진법 색 지정법을 따른다. |
| + | |plt.plot(x, y, color='#e35f62') |
| + | |- |
| + | |빨강 |
| + | |자주 쓰는 색은 단순 알파벳으로 지정되어 있다. |
| + | |plt.plot(x, y, color='r') |
| + | |- |
| + | |색 |
| + | |색의 이름으로도 지정하곤 한다. |
| + | |plt.plot(x, y, color='violet') |
| + | |} |
| + | |
| + | == 점 찍기 == |
| + | {| class="wikitable" |
| + | !의도 |
| + | !설명 |
| + | !방법 |
| + | |- |
| + | |점 찍기 |
| + | |그래프 안에 점을 찍는다. 기본적으로 선과 동일. |
| + | |plt.scatter(res.index, res['check_confirm']) |
| |} | | |} |
| | | |
64번째 줄: |
98번째 줄: |
| |각도를 틀어주면 데이터 사이의 간격이 생겨 x축 값을 읽기 쉬워진다. | | |각도를 틀어주면 데이터 사이의 간격이 생겨 x축 값을 읽기 쉬워진다. |
| |plt.xticks(rotation=45) | | |plt.xticks(rotation=45) |
| + | |} |
| + | |
| + | == 이미지 == |
| + | {| class="wikitable" |
| + | !의도 |
| + | !설명 |
| + | !방법 |
| + | |- |
| + | |이미지 크기 설정하기 |
| + | |가로, 세로값을 기입하는데, 인치가 사용된다. |
| + | (A4는 11.7, 8.3) |
| + | |plt.rcParams["figure.figsize"] = [11.7, 8.3] |
| |} | | |} |
| [[분류:Matplotlib]] | | [[분류:Matplotlib]]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