바뀜
둘러보기로 가기
검색하러 가기
1번째 줄:
1번째 줄:
− 데이터베이스 중 하나. +
− ==설치==
− 설치할 때 root의 비밀번호를 설정한다. 잊지 않게끔 잘 기억해두자.
− ===열기===
− {| class="wikitable"
− !운영체제
− !설명
− !방법
− |-
− |우분투
− |루트권한으로 접근해야 사용할 수 있다.
− sudo mysql 을 치면 MySQL모니터에 접근한다.
− |
− |-
− |윈도우
− |cmd로 설치파일이 있는 경로로 이동한 후 명령 실행.
− |mysql.exe -u root -p
− |}
− ===시스템 재부팅===
− ==기본명령==
− MySQL 모니터 안에서 사용하는 명령이다.
−
− 명령의 마지막엔 ; 이 붙어야 함에 유의하자.
−
− (대문자, 소문자 구분을 안하던데, 왜 대문자로 치는지 모르겠네;;)
− {| class="wikitable"
− |+
− !의도
− !설명
− !방법
− |-
− |데이터베이스 보기
− |모니터 안에서.
− |show DATABASES;
− |-
− |DB생성
− |
− |CREATE DATABASE 데이터베이스이름;
− |-
− |DB삭제
− |
− |DROP DATABASE 데이터베이스명;
− |-
− |DB사용
− |
− |use 데이터베이스명;
− |-
− |테이블 보기
− |
− |SHOW TABLES;
− |}
−
− === 테이블 만들기 ===
− {| class="wikitable"
− !의도
− !설명
− !방법
− |-
− |테이블 만들기
− |IF NOT EXISTS 조건을 걸어 테이블의 종류를 최신화하는 것도 가능하다.
− |CREATE TABLE IF NOT EXISTS 테이블명(변수 타입, 변수2 타입2 제한조건, ....)
− |-
− |테이블 이름 제한
− |실수하기 쉬운 순서대로 나열해 보았다.
−
− # 반드시 문자로 시작.(많은 사람들이 숫자로 시작하는 테이블을 만드는 실수를 한다.)
− # 오라클에서 사용되는 예약어나 다른 객체명과 중복불가(TRUE 같은 것들은 사용 불가.)
− # 1~30자 까지 가능함.
− # A~Z까지의 대소문자와 0~9까지의 숫자, 특수기호는 (_, $, #)만 포함할 수 있음.
− # 공백허용 안됨.
− |
− |}
−
− === 데이터 입력 ===
− {| class="wikitable"
− !의도
− !설명
− !방법
− |-
− |테이블 안에 데이터 입력
− |해당값은 따옴표, 쌍따옴표로 둘러 기입해준다.
− |insert into 테이블명 values('값', '값2', ...)
− |}
− =유저 관련=
− {| class="wikitable"
− !의도
− !설명
− !방법
− |-
− |유저생성
− |localhost 대신 해당 ip에서만 접속할 수 있게끔 제한할 수 있다.
− |CREATE USER '계정명'@'localhost' IDENTIFIED BY '비밀번호';
− |-
− |권한 주기
− |ALL은 모든 권한을 주는 것.
− |GRANT ALL ON DB이름.* TO '계정명'@'localhost';
− |-
− |유저 정보 보기
− |유저의 호스트, 유저명, 인증방법을 볼 수 있다.
− |select Host,User,plugin FROM mysql.user;
− |}
− ==외부에서 접속(원격접속)==
− 기본적으로 접속은 localhost에서만 가능하다. 2가지 과정이 필요하다.
− {| class="wikitable"
− !과정
− !설명
− |-
− |외부에서 접속 가능한 계정 만들기
− |mysql -u root -p 로 mysql을 실행한 후 SELECT User, Host, plugin FROM mysql.user;를 쳐보면, Host가 localhost로 되어있을 것이다.
− 새로운 ip에 맞게 유저를 만들어주어야 한다.(같은 유저라도 호스트에 따라 다른 계정이 된다.)
− {| class="wikitable"
− !과정
− !설명
− !
− |-
− |계정 만들기
− |CREATE USER '계정명'@'%' IDENTIFIED BY '비밀번호';
−
−
− 계정명 뒤의 옵션에 따라 허용해주는 ip가 달라진다.
− {| class="wikitable"
− !옵션
− !설명
− |-
− |%
− |모든 아이피 허용
− |-
− |111.222.%
− |111.222로 시작하는 아이피 모두 허용
− |-
− |111.222.11.22
− |111.222.11.22만 허용
− |}
− |
− |-
− |권한부여
− |*.* 은 모든 DB의 모든 table을 의미한다.
− |GRANT ALL PRIVILEGES ON *.* TO '계정'@'%';
− |-
− |인증비밀번호설정
− |비밀번호까지 다시 설정해주어야 제대로 된다.
− |alter user '계정'@'%' identified with mysql_native_password by '비밀번호';
− |}
− |-
− |바인드주소 지우기
− |cd /etc/mysql/mysql.conf.d 에서 mysqld.cnf 파일을 편집한다.(버전, 운영체제 버전에 따라 다를 수 있다.)
− 바인드 어드레스를 다음과 같이 주석처리한 후 저장. ''#bind-address = 127.0.0.1''
−
− 이후 sudo service mysql restart
− |}
−
− == 이외 팁 ==
−
− === 자동실행 ===
− 보통 서버가 실행되면 자동 실행되지만, 그렇지 않은 경우 <code>sudo systemctl enable mysql</code>을 해보자.
→데이터 입력, 제거
==개요==
==개요==
파이썬으로 Mysql에 관한 조작을 하기 위한 지식을 담은 문서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