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번째 줄: |
1번째 줄: |
− | 변동성 지수 | + | === 변동성 지수 === |
| + | 미국 VIX(Volatility Index)지수. 이외 많은 변동성 지수가 있다. |
| | | |
− | 미국 VIX(Volatility Index)지수.
| + | 일반적으로 주가가 하락할 때 변동성이 커지는 경향이 있었다.(변동성이 줄어드는 때 뛰어드는 전략도 괜찮겠는걸...??) |
| + | |
| + | ==== idea ==== |
| + | 덩어리가 클 수록 변동의 정도는 크지 않다. 개별 주식보단 코스피의 변동성이 적고, 코스피보단 미국의 변동성이 적다. |
| + | |
| + | === 주가의 확률이론적 접근 === |
| + | 하루 단위의 수익률을 계산해보면 완전 랜덤인 듯 보이지만, log를 취해 변환해 살펴보면 정규분포와 비슷한 형태를 갖게 된다.(정규분포의 랜덤...??) |
| + | |
| + | == Idea == |
| + | 미국 지표와 삼성주가의 연관성은 굉장히 높았다. 작동하는 시간이 다르니.. 미장과의 연관성을 파악할 수 있다면 그를 따라 가는 것만으로도 수익을 노려봄직 하지 않을까? 일반적으로 seaborn 라이브러리를 사용하는 듯하다. |
| [[분류:주식거래]] | | [[분류:주식거래]]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