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번째 줄: |
1번째 줄: |
| == 개요 == | | == 개요 == |
− | URL을 다루는 모듈을 모아놓은 패키지. | + | URL을 다루는 모듈을 모아놓은 패키지. 다양한 모듈을 포함하고 있다. |
− | [[분류:라이브러리]] | + | |
| + | = 모듈 = |
| + | |
| + | == urllib.request == |
| + | 웹사이트에 있는 데이터에 접근하는 기능을 제공. |
| + | |
| + | === 요청(클라이언트 정보 출력) === |
| + | <syntaxhighlight lang="python"> |
| + | import urllib.request |
| + | |
| + | url = "http://..." # FTP의 리소스를 받아보고 싶다면 "ftp://주소" 형태로 입력하면 된다. |
| + | res = urllib.request.urlopen(url) # 응답을 받는다. |
| + | data = res.read() # 데이터를 읽는다.(바이너리 형태) |
| + | text = data.decode("utf-8") # utf-8을 이용하여 읽을 수 있는 형태로 변환한다. |
| + | print(test) # 출력. |
| + | </syntaxhighlight> |
| + | |
| + | == urllib.parse == |
| + | url 관련 조작을 위한 모듈. |
| + | |
| + | 딱히 굉장한 기능이라기보단.. 귀찮은 작업들을 줄여주는 역할. |
| + | {| class="wikitable" |
| + | !의도 |
| + | !설명 |
| + | !방법 |
| + | |- |
| + | |매개변수를 담아 요청 |
| + | |검색어 등 매개변수를 담아 요청하는 방법 |
| + | 매개변수는 사전 형태로 담는다. |
| + | |
| + | |
| + | parse는 값들 사이에 자동으로 &을 넣어서 타이핑의 수고를 줄여준다. |
| + | |<syntaxhighlight lang="python"> |
| + | import urllib.parse |
| + | import urllib.request |
| + | |
| + | api = "http://주소" |
| + | values = {'변수1':값, '변수2':값2, ...} |
| + | |
| + | params = urllib.parse.urlencode(values) # 해당 값들을 담아 url 코드로 바꾼다.(한국어를 사용할 때 필수) |
| + | url = api + "?" + params # 최종적으로 요청할 주소를 만든다. |
| + | data = urllib.request.urlopen(url).read() |
| + | text = data.decode("utf-8") # utf-8로 디코드 해서 읽을 수 있는 데이터로 만든다. |
| + | </syntaxhighlight> |
| + | |- |
| + | |상대경로 처리 |
| + | |href 속성에 링크를 상대경로로 해두는 경우가 많다. |
| + | ex) "/home/target.png" |
| + | |
| + | 이 링크에 제대로 접근하려면 상대경로를 절대경로로 변환해주어야 한다. |
| + | |<syntaxhighlight lang="python"> |
| + | from urllib.parse import urljoin |
| + | |
| + | base = "http://도메인 등의 주소" |
| + | url = urljoin(base, "상대경로") # 두 주소를 이어붙여준다. |
| + | </syntaxhighlight> |
| + | |} |
| + | [[분류:웹 라이브러리]]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