44번째 줄: |
44번째 줄: |
| !방법 | | !방법 |
| |- | | |- |
− | |while | + | |기본형 |
− | | | + | |<syntaxhighlight lang="python"> |
| + | while 0< x <=3: |
| + | x-=1 |
| + | </syntaxhighlight> |
| + | |- |
| + | |else |
| + | |<syntaxhighlight lang="python"> |
| + | while 0< x <=3: |
| + | x -= 1 |
| + | else: |
| + | x += 1 |
| + | </syntaxhighlight> |
| |} | | |} |
| =for= | | =for= |
53번째 줄: |
64번째 줄: |
| !비고 | | !비고 |
| |- | | |- |
− | | | + | |기본형 |
| |<syntaxhighlight lang="python"> | | |<syntaxhighlight lang="python"> |
| for 변수 in 자료구조: | | for 변수 in 자료구조: |
66번째 줄: |
77번째 줄: |
| </syntaxhighlight> | | </syntaxhighlight> |
| |변수 갯수가 맞지 않는 경우엔 에러가 난다. | | |변수 갯수가 맞지 않는 경우엔 에러가 난다. |
| + | |- |
| + | |else |
| + | |<syntaxhighlight lang="python"> |
| + | for 변수 in 자료구조: |
| + | 명령 |
| + | else: |
| + | 명령 |
| + | </syntaxhighlight> |
| + | | |
| |} | | |} |
| ===range=== | | ===range=== |
96번째 줄: |
116번째 줄: |
| | | | | |
| |} | | |} |
− | enumerate
| |
| | | |
| + | === enumerate === |
| + | {| class="wikitable" |
| + | !의도 |
| + | !설명 |
| + | !예시 |
| + | |- |
| + | |기본형태 |
| + | |for문을 돌리며 변수와 함께 수를 세주는 역할이 필요할 때. |
| + | |<syntaxhighlight lang="python"> |
| + | for i, x in enumerate(['A', 'B', 'C']): |
| + | # i는 0부터 순차적으로 올라가고, |
| + | # x는 A부터 나온다. |
| + | </syntaxhighlight> |
| + | |} |
| + | |
| + | === zip === |
| + | 특정 데이터를 커플링하고 싶을 때 사용한다. |
| + | {| class="wikitable" |
| + | !의도 |
| + | !설명 |
| + | !예시 |
| + | |- |
| + | |두 리스트를 하나로 |
| + | |각각의 n번 원소를 하나의 튜플로 합쳐준다. |
| + | [1, 2, 3], ["A", "B", "C"]을 |
| + | |
| + | [(1, 'A'), (2, 'B'), (3, 'C')]로. |
| + | |<syntaxhighlight lang="python"> |
| + | pairs = list(zip(list1, list2)) |
| + | </syntaxhighlight> |
| + | |- |
| + | |두 리스트를 하나의 사전처럼 |
| + | |순번이 동일한 리스트가 있고, 이 둘을 동시에 순회해야 할 때. |
| + | |<syntaxhighlight lang="python"> |
| + | for i, j in zip(list1, list2): |
| + | .... |
| + | </syntaxhighlight> |
| + | |} |
| =분기문= | | =분기문= |
| 실행위치를 이동시키는 명령. | | 실행위치를 이동시키는 명령. |
105번째 줄: |
162번째 줄: |
| 자기 바로 위의 반복문을 탈출한다. | | 자기 바로 위의 반복문을 탈출한다. |
| ===continue=== | | ===continue=== |
− | 해당 반복은 수행하지 않고 다음 반복으로 건너뛴다. <code>pass</code>도 동일. | + | 해당 반복은 수행하지 않고 다음 반복으로 건너뛴다. 다음 코드의 출력은 0, 1, 3, 4, 5 이다.<syntaxhighlight lang="python"> |
| + | for i in range(6): |
| + | if i == 2: |
| + | continue |
| + | print(i) |
| + | </syntaxhighlight> |
| + | === pass === |
| + | 있으나 마나한 기능이지만.. if나 for문 안에서 내용을 들여쓰기 하지 않으면 에러가 나는데, 내용을 나중에 채워넣기 위해 사용하는 구문. 다음과 같은 때에 사용한다.<syntaxhighlight lang="python"> |
| + | if 1>x: |
| + | pass # 내용은 나중에 넣자. |
| + | |
| + | def 함수명(): |
| + | pass # 함수를 정의하긴 하는데, 내용은 나중에 넣자. |
| | | |
− | === pass ===
| + | class 클래스명(): |
− | 있으나 마나한 기능이지만.. if나 for문 안에서 내용을 들여쓰기 하지 않으면 에러가 나는데, 내용을 나중에 채워넣기 위해 사용하는 구문.
| + | pass # 클래스를 정의하긴 하는데, 내용은 나중에 넣자. |
| + | </syntaxhighlight>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