바뀜
둘러보기로 가기
검색하러 가기
1번째 줄:
1번째 줄:
+
+
+
+
26번째 줄:
30번째 줄:
+
+
+
+
+
+
+
+
+
+
+
+
43번째 줄:
59번째 줄:
+
+
+
− +
− {| class="wikitable"
− !의도
− !방법
− !설명
− |-
− |데이터가 어떤 타입인지 파악하기
− |type(데이터)
− |데이터의 타입을 'str', 'int' 형태로 반환한다.
− 조건문과 연계해서 사용할 수도 있다.
− |}
− ==데이터 입출력==
63번째 줄:
71번째 줄:
+
+
+
+
+
편집 요약 없음
파이썬 자료형에 대한 문서.
파이썬 자료형에 대한 문서.
<youtube>https://www.youtube.com/watch?v=nObNmiO_ZvY&list=PLgvRmnJBG4YU6y9BakEkTOiB-kYuNdrAm&index=3</youtube>
==개요==
==개요==
|논리형.
|논리형.
|True, False
|True, False
|}
=== 데이터 타입 ===
{| class="wikitable"
!의도
!방법
!설명
|-
|데이터가 어떤 타입인지 파악하기
|type(데이터)
|데이터의 타입을 'str', 'int' 형태로 반환한다.
조건문과 연계해서 사용할 수도 있다.
|}
|}
===자료형태변환===
===자료형태변환===
|실수로
|실수로
|float(데이터)
|float(데이터)
유의 : 2.0-1.9 계산을 하다가 0.00000004 형태의 아주 작은 오차가 생긴다.
때문에 소수점 자리가 중요한 연산의 경우, round 함수로 오차를 제거해주어야 한다.
|float
|float
|}
|}
===데이터 타입===
===데이터 입출력===
===입력===
===입력===
input("나타낼 설명") 형태로 기입하면 입력칸을 생성할 수 있다. 기본적으로 문자열을 받기 때문에 필요한 형태로 변화시켜야 한다.
input("나타낼 설명") 형태로 기입하면 입력칸을 생성할 수 있다. 기본적으로 문자열을 받기 때문에 필요한 형태로 변화시켜야 한다.
===출력===
===출력===
print(데이터) 형태로 필요한 것을 출력할 수 있다.
print(데이터) 형태로 필요한 것을 출력할 수 있다.
= 팁 =
=== boolean ===
어떤 함수를 실행하면 True, 한번 더 실행하면 False를 반환하게 바꾸어야 하는 상황이 많다. 이런 경우엔 함수의 마지막에 <code>변수 = not 변수</code>를 넣어주면 True면 False로, Flase면 True로 바꾸어준다.
[[분류:기초]]
[[분류:기초]]